대구 달성 비슬산 참꽃(진달래)
참꽃(진달래)이 대견봉, 대견사 뒤쪽 고산 분지에 군락을 이루고 있습니다. 4월 초 눈이 내리면서 먼저 핀 참꽃과 꽃봉우리는 냉해로 20%정도가 피해을 보았고 냉해를 입지 않은 참꽃이 개화가 늦어지고 있습니다. 현재 개화는 전체면적의 40~50%정도 개화하였습니다. 산 정상의 바위 모양이 신선이 거문고를 타는 모습을 닮았다 하여 비슬(琵瑟)이라는 이름이 붙었다고 전해지나, 이는 전형적으로 우리말을 음차한 한자에 뜻을 부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상술하였듯 이 산은 전통적으로 '포산(苞山)'으로 불리기도 했는데, 苞(쌀 포)의 훈 '싸다'는 중세 한국어에서 'ᄡᆞ다'였으므로 산의 명칭 '비슬(琵瑟)'은 이 단어의 활용형 'ᄡᆞᆯ'을 음차한 표기라고 볼 수 있다. 즉, 비슬산의 본래 의미는 "(무언가를) 싸고 있는 산"에 가까웠을 것으로 추측된다.
최고봉은 높이는 1,084m의 천왕봉(天王峰)이다.[3]
암괴류(岩塊流)는 큰 자갈 또는 바위 크기의 둥글거나 각진 암석 덩어리들이 무리지어 산 사면이나 골짜기에 아주 천천히 흘러내리면서 쌓인 것이다, 너덜겅, 암류, 암석폭포라고도 한다. 비슬산 암괴류는 중생대 백악기 화강암의 거석들로 이루어진 특이한 경관을 보여준다. 뿐만 아니라 규모가 길이 2㎞, 폭 80m, 두께 5m에 달하고, 암괴들의 직경이 약 1~2m에 이르는 것으로 국내에 분포하는 수 개의 암괴류 중 규모가 가장 커 학술적·자연학습적 가치가 매우 높다. 2003년 지질 분야 천연기념물 435호로 지정, 보호되고 있다.
유가사, 비슬산, 천왕봉, 도통바위, 마령재, 월광봉, 조화봉, 대견사, 대견봉, 비슬산 강우레이더 관측소, 참꽃축제, 비슬산 휴양림
Daegu, South Korea
time : Apr 25, 2025 7:02 AM
duration : 3h 41m 4s
distance : 11.6 km
total_ascent : 1019 m
highest_point : 1115 m
avg_speed : 3.2 km/h
user_id : cms7832
user_firstname : 민식
user_lastname : 조
◆ 산행코스: 유가사 주차장→ 유가사→ 도통바위→ 천왕봉→ 마령재→ 월광봉→ 조화봉→ 대견사→ 대견봉→ 유가사→ 유가사 주차장(11.6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