걸리ㆍ청계천(오간수교-두물다리)- 정릉천(정릉천교-제기2교) *청계천 들꽃

■ 청계천(淸溪川) *개천(開川) *청계천은 인왕산, 북악산 백운동계곡에서 발원하는 하천으로 총 길이 10.84㎞, 유역 면적 59.83㎢이다. *청계천을 이루고 있는 주요 5개 지천인 백운동천(白雲洞川), 삼청동천(三淸洞川), 남소문동천(南小門洞川), 흥덕동천(興德洞川), 창동천(倉洞川)의 물이 청계천으로 모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살곶이다리 근처 에서 중랑천과 합쳐 서쪽으로 흐름을 바꾸어 한강으로 빠져나간다. *청계천의 본래 명칭은 개천(開川)이였으나 일제강점기에 청계천으로 이름이 바뀌 었다. □ 청계천 다리 기린교(수성동계곡) 1.모전교, 2.광통교, 3.광교, 4.장통교, 5.삼일교, 6.수표교, 7.관수교, 8.세운교, 9.배오개다리, 10.새벽다리, 11.마전교, 12.나래교, 13.버들다리(전태일교), 14.오간수교, 15.맑은내다리, 16.다산교, 17.영도교, 18.황학교, 19.비우당교, 20.무학교, 21.두물다리, 22.고산자교 (총 23개) ■ 청계천 유적ㆍ유물 □ 인왕산 수성동계곡 기린교(麒麟橋) 종로구 누하동과 옥인동에 있던 옛 다리이다. 정선의 그림인 '水聲洞'에 암벽 사이로 계곡이 흐르고 그 위에 다리가 하나 놓여있는데 이것 이 기린교이다. 기린교는 1950년대까지 존재 하였으나 1960년대에 옥인시범아파트를 건립하면서 없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후 2007년 대통령 경호실이 청와대 부근의 문화유적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옥인시범아파트 옆 계곡 암반의 벽 사이에 남아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기린은 성인이 세상에 나오기 전에 나타 난다고 하는 상상의 동물로 수컷을 ‘기(麒)’ 암컷을 ‘린(麟)’이라고 한다. □ 모전교(毛廛橋 *隅廛橋) 모전은 각종 과일을 파는 가게를 말하는데, 모전교라고 이름한 것은 이 다리가 모전 부근에 있었기 때문이라 한다. □ 광통교(廣通橋) *신덕왕후 정릉 석물 광통교는 지금의 광교 터에 있었던 조선시대 의 다리이다. 태조 때에 흙으로 축조되었으나 태종 10년(1410) 큰 비로 다리가 유실되자, 태종은 태조 이성계의 계비인 신덕왕후 강씨 의 정릉 옛 터의 병풍석 등 석물을 사용하여 석교로 만들었다.(조선시대 최초 대 석조교) 이는 이성계가 자신의 왕위를 신덕왕후 강씨 의 소생인  이방석에게 넘겨 주려고 하자,  이방원은 왕자의 난을 일으켜 방석을 죽이고 왕위에 오른 후 강씨의 묘를 현재의 정릉으로 옮기게 하였고, 이장 후 남아 있었던 석물을 다리 축조 할 때 사용 하도록 하였다 한다. 다리를 축조 할 때 석물은 거꾸로 놓고 축조 하도록 하였고 모든 사람이 밟고 다닐 수 있게 하였다 한다. (광통교 원 위치는 광교네거리 지하에 있다) □ 장통교(長通橋) 한양 도성의 중부 장통방(長通坊)에 있던 다리이다. 다리 주변에 종로대로가 있고 시전 상가가 즐비하여 그와 관련된 창고가 길게 늘어서 있었다고 하여 장창교(長倉橋), 장찻골다리, 장교(長橋), 장추교(長楸橋), 장추골다리 등으로도 불렸다. □ 수표교(水標橋)  1420년(세종2)에 만들어졌으며 당시 이곳에 마전(馬廛)이 있어서 마전교라 불렀으나, 1441년(세종 23)에 다리 옆에 개천의 수위를 측정 하기 위해서 수표석(水標石)을 세운 이후 수표교라고 하였다. 1959년 청계천 복개공사 때 장충단공 원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 세운교(世運橋) *소경다리, 맹교(盲橋) 세운교(世運橋)가 세워진 장소는 조선시대 효경교(孝經橋)가 있던 자리이다. 부근에 소경이 많이 살았다고 하여 소경다리, 맹교 (盲橋)라고도 하였다. □ 마전교(馬前橋 *馬廛橋) 다리 부근에 우마를 매매하는 마전 (馬廛)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오간수문(五間水門)  오간수문은 청계천 물이 성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하여 성벽 아래에 설치한 수문 (水門)으로 이것이 다섯개 있었으므로 오간수문이라고 하였다. 1908년 일제에 의해 파괴되고 다리가 놓여졌으며, 이때부터 오간수교(五間水橋)라고 불렀다. □ 영도교(永渡橋) *왕심평교, 영이별다리, 영미교, 띄엄다리 조선시대 초 부터 있었던 다리로 성종 때 승려들을 동원하여 돌다리로 크게 개축 하였다 전한다. 고종 초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수할 때 헐어다가 석재로 사용하면서 나무다리로 바뀌었다. 이 나무다리는 장마 때마다 유실되어 띄엄띄엄 징검다리를 놓아 건너다니면서 한때는 '띄엄다리'라는 이름이 붙기도 하였다. (일제강점기 콘크리트 다리로 개축)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이 노산군 으로 강봉되어 강원도의 영월로 귀향을 떠나 는 날 단종과 정순왕후 송씨가 이별한 장소. ■ 정릉천(貞陵川) 정릉천은 북한산 계곡에서 발원하여 성북구 정릉동, 종암동 일대를 지나 동대문구 제기동 사이를 통과 청계천으로 흘러 들어 중랑천과 한강으로 합류한다. 길이는 10.85km이다. 정릉로21길 부터 종암사거리까지의 구간은  복개되어 있으며, 이후 구간은 내부순환로가 하천을 따라 뻗어 있다 🥀 들꽃 - 자주괴불주머니 - 냉이 - 말냉이 - 좁쌀냉이 - 꽃다지 - 제비꽃 - 조팝나무 - 네군도단풍나무 - 민들레 - 개불알풀(봄까치) - 광대나물 - 갈퀴덩굴 - 살갈퀴 - 꽃마리 - 애기똥풀 - 소래풀 - 뱀딸기 🐦 새 - 청둥오리 - 왜가리 - 민물가마우지

Sightseeing

Seoul, South Korea
bhsk52441 photo
time : Apr 11, 2025 2:35 PM
duration : 2h 29m 27s
distance : 5 km
total_ascent : 191 m
highest_point : 79 m
avg_speed : 2.9 km/h
user_id : bhsk52441
user_firstname : 신승관
user_lastname : 신
■ 청계천(淸溪川) *개천(開川) *청계천은 인왕산, 북악산 백운동계곡에서 발원하는 하천으로 총 길이 10.84㎞, 유역 면적 59.83㎢이다. *청계천을 이루고 있는 주요 5개 지천인 백운동천(白雲洞川), 삼청동천(三淸洞川), 남소문동천(南小門洞川), 흥덕동천(興德洞川), 창동천(倉洞川)의 물이 청계천으로 모여 동쪽으로 흐르다가 살곶이다리 근처 에서 중랑천과 합쳐 서쪽으로 흐름을 바꾸어 한강으로 빠져나간다. *청계천의 본래 명칭은 개천(開川)이였으나 일제강점기에 청계천으로 이름이 바뀌 었다. □ 청계천 다리 기린교(수성동계곡) 1.모전교, 2.광통교, 3.광교, 4.장통교, 5.삼일교, 6.수표교, 7.관수교, 8.세운교, 9.배오개다리, 10.새벽다리, 11.마전교, 12.나래교, 13.버들다리(전태일교), 14.오간수교, 15.맑은내다리, 16.다산교, 17.영도교, 18.황학교, 19.비우당교, 20.무학교, 21.두물다리, 22.고산자교 (총 23개) ■ 청계천 유적ㆍ유물 □ 인왕산 수성동계곡 기린교(麒麟橋) 종로구 누하동과 옥인동에 있던 옛 다리이다. 정선의 그림인 '水聲洞'에 암벽 사이로 계곡이 흐르고 그 위에 다리가 하나 놓여있는데 이것 이 기린교이다. 기린교는 1950년대까지 존재 하였으나 1960년대에 옥인시범아파트를 건립하면서 없어진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후 2007년 대통령 경호실이 청와대 부근의 문화유적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옥인시범아파트 옆 계곡 암반의 벽 사이에 남아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 원형이 잘 보존되어 있어 문화재로서의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기린은 성인이 세상에 나오기 전에 나타 난다고 하는 상상의 동물로 수컷을 ‘기(麒)’ 암컷을 ‘린(麟)’이라고 한다. □ 모전교(毛廛橋 *隅廛橋) 모전은 각종 과일을 파는 가게를 말하는데, 모전교라고 이름한 것은 이 다리가 모전 부근에 있었기 때문이라 한다. □ 광통교(廣通橋) *신덕왕후 정릉 석물 광통교는 지금의 광교 터에 있었던 조선시대 의 다리이다. 태조 때에 흙으로 축조되었으나 태종 10년(1410) 큰 비로 다리가 유실되자, 태종은 태조 이성계의 계비인 신덕왕후 강씨 의 정릉 옛 터의 병풍석 등 석물을 사용하여 석교로 만들었다.(조선시대 최초 대 석조교) 이는 이성계가 자신의 왕위를 신덕왕후 강씨 의 소생인  이방석에게 넘겨 주려고 하자,  이방원은 왕자의 난을 일으켜 방석을 죽이고 왕위에 오른 후 강씨의 묘를 현재의 정릉으로 옮기게 하였고, 이장 후 남아 있었던 석물을 다리 축조 할 때 사용 하도록 하였다 한다. 다리를 축조 할 때 석물은 거꾸로 놓고 축조 하도록 하였고 모든 사람이 밟고 다닐 수 있게 하였다 한다. (광통교 원 위치는 광교네거리 지하에 있다) □ 장통교(長通橋) 한양 도성의 중부 장통방(長通坊)에 있던 다리이다. 다리 주변에 종로대로가 있고 시전 상가가 즐비하여 그와 관련된 창고가 길게 늘어서 있었다고 하여 장창교(長倉橋), 장찻골다리, 장교(長橋), 장추교(長楸橋), 장추골다리 등으로도 불렸다. □ 수표교(水標橋)  1420년(세종2)에 만들어졌으며 당시 이곳에 마전(馬廛)이 있어서 마전교라 불렀으나, 1441년(세종 23)에 다리 옆에 개천의 수위를 측정 하기 위해서 수표석(水標石)을 세운 이후 수표교라고 하였다. 1959년 청계천 복개공사 때 장충단공 원으로 옮겨 보존하고 있다. □ 세운교(世運橋) *소경다리, 맹교(盲橋) 세운교(世運橋)가 세워진 장소는 조선시대 효경교(孝經橋)가 있던 자리이다. 부근에 소경이 많이 살았다고 하여 소경다리, 맹교 (盲橋)라고도 하였다. □ 마전교(馬前橋 *馬廛橋) 다리 부근에 우마를 매매하는 마전 (馬廛)이 있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오간수문(五間水門)  오간수문은 청계천 물이 성밖으로 빠져나가도록 하기 위하여 성벽 아래에 설치한 수문 (水門)으로 이것이 다섯개 있었으므로 오간수문이라고 하였다. 1908년 일제에 의해 파괴되고 다리가 놓여졌으며, 이때부터 오간수교(五間水橋)라고 불렀다. □ 영도교(永渡橋) *왕심평교, 영이별다리, 영미교, 띄엄다리 조선시대 초 부터 있었던 다리로 성종 때 승려들을 동원하여 돌다리로 크게 개축 하였다 전한다. 고종 초 대원군이 경복궁을 중수할 때 헐어다가 석재로 사용하면서 나무다리로 바뀌었다. 이 나무다리는 장마 때마다 유실되어 띄엄띄엄 징검다리를 놓아 건너다니면서 한때는 '띄엄다리'라는 이름이 붙기도 하였다. (일제강점기 콘크리트 다리로 개축) *수양대군에게 왕위를 빼앗긴 단종이 노산군 으로 강봉되어 강원도의 영월로 귀향을 떠나 는 날 단종과 정순왕후 송씨가 이별한 장소. ■ 정릉천(貞陵川) 정릉천은 북한산 계곡에서 발원하여 성북구 정릉동, 종암동 일대를 지나 동대문구 제기동 사이를 통과 청계천으로 흘러 들어 중랑천과 한강으로 합류한다. 길이는 10.85km이다. 정릉로21길 부터 종암사거리까지의 구간은  복개되어 있으며, 이후 구간은 내부순환로가 하천을 따라 뻗어 있다 🥀 들꽃 - 자주괴불주머니 - 냉이 - 말냉이 - 좁쌀냉이 - 꽃다지 - 제비꽃 - 조팝나무 - 네군도단풍나무 - 민들레 - 개불알풀(봄까치) - 광대나물 - 갈퀴덩굴 - 살갈퀴 - 꽃마리 - 애기똥풀 - 소래풀 - 뱀딸기 🐦 새 - 청둥오리 - 왜가리 - 민물가마우지
Info
Name
 
About Me
Media Contents
  •  
  • -
  •  
  • -
  •  
  • -
  •  
  • -
Most Frequent Activity
1.
-
2.
-
3.
-
Widget
Copy the widget source code below and paste into your blog template.
 
( / )
  No more trips to show
 
No more trips to show
bhsk52441's Collections
 
Sorry, the collection could not be found.
Bookmarked Collections
 
Sorry, the collection could not be found.
 
(0)
  There is no data
Blocked Users(0)
  There is no data
Ramblr passports
  Share

  Grab the URL link to the passport.

0 like(s)
 
(0 / 0)
Badges (0)
These are the badges you have acquired. Click to see the details.
     
     
    These are the badges you have acquired. Click to see the details.
    Badges acquired
      Full Screen
     
      Google Map
      Naver Map
    Statistics
    • Total
      Trips
      -
    • Total
      Distance
      -
    • Total
      Duration
      -
    • Highest
      Point
      -
    • Total
      Ascent
      -
    • Average
      Speed
      -
    Most Frequent Activity
    Click on the stat type above to see its graph.
  • First Certification Date :
  •  
    Following
      Follow
    Unfollow
  • 0
     
    There is no badge.
  • Draft
    Private
    Secret
     
    -
      Edit
      Delete
    Are you sure you want to delete this trip?
    YES, delete
    NO, cancel
    Add to Collection
     
     
    Create a Collection Edit Collection
     
    Name
     
    Description
     
    Visibility Setting
     
    Trip Sorting by
     
    Cover Pi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