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oul, South Korea
time : Feb 22, 2025 12:55 PM
duration : 5h 27m 31s
distance : 7.5 km
total_ascent : 609 m
highest_point : 366 m
avg_speed : 2.1 km/h
user_id : bhsk52441
user_firstname : 신승관
user_lastname : 신
아차산ᆢ296m
용마산ᆢ348m
■ 아차산성(峨蛙山城)
- 사적 제234호 / 시대 : 삼국시대
아차산성은 삼국사기에 '아단성(阿旦城)' 또는 '아차성(峨蛙城)'으로 기록되어있다.
삼국사기에 이 성을 286년(백제 책계왕 28) 에 수리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이전에 쌓은 것으로 보인다. 396년에는 고구려 광개토대왕이 이 성을 빼앗았으며, 475년에는 백제 개로왕이 이 성 아래에서 죽었다는 기록이 있다. 아차산성은 부정 육각형의 포곡식 산성으로 둘레는 1km가 조금 넘는다. 성벽은 높이 7m 가량으로 추정되는데 안팎 모두 잘 다듬은 돌로 쌓았다.
성벽 바깥쪽 기저부는 별도의 보강성벽을 쌓은 후 흙으로 다져서 덮었다. 해발 203m 의 북쪽 모서리 가장 높은 곳에는 장대가 설치되어 있고, 동. 서. 남쪽에 문지가 남아 있다. 계단상 지형을 이루고 있는 성 내부에서 여러 기의 건물터와 연못, 우물, 배수구 등이 확인되었다. 기록에 따르면 아차산성은 백제가 수도 한성을 방어하기 위해 쌓았으나 나중에 고구려와 신라가 이용 한 것으로 보인다. 현재 남아 있는 성벽과 시설물들은 7세기 이후 신라가 축조한 것이다. 이 산성은 한강유역을 둘러싼 삼국의 각축을 보여 주는 중요한 유적이다.
□ 아차산 3보루
□ 아차산 4보루
□ 용마산 4보루
□ 용마산 7보루
■ 아차산 일대 보루군
- 사적 제455호
ㆍ아차산 보루(6개소)
ㆍ용마산 보루(7개소)
ㆍ망우산 보루(3개소)
ㆍ홍련봉 보루(2개소)
ㆍ시루봉 보루
ㆍ수락산 보루
■ 석곽분
■ 온달샘 석탑
■ 아차산 3층석탑
- 경기도지정유형문화유산
(경기도 유형문화재 제205호)
🪨 기암
- 큰바위얼굴
- 두꺼비바위
- 사각상자바위
- 아이스크림바위
- 둘리바위
- 고릴라바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