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esan-gun, Chungcheongnam-do, South Korea
time : Oct 6, 2025 1:19 PM
duration : 1h 14m
distance : 2.8 km
total_ascent : 421 m
highest_point : 517 m
avg_speed : 2.3 km/h
user_id : yupost
user_firstname : YEONSANG
user_lastname : RYU
💗 수덕사(修德寺)
소재지: 충청남도 예산군 덕산면 사천리 덕숭산 남쪽에 자리잡은 수덕사는 현존하는 백제 고찰의 하나로 창건에 대한 정확한 문헌기록은 없으나 백제 위 덕왕(威德王 재위시에 창건된 것으로 학계에서는 추정하고 있다. 수덕사는 창건 이후 백제의 고승 혜현(554-597) (現)스님이 주석하며 법화경(法華經) 강론을 폈으며, 고려 충렬왕(忠烈王) 34년(1308)에는 대웅전(국보 49호)이 건립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후 조선시대에 와서는 중수기(重修記)에 의하면 중종(中宗) 23년(1528), 영조(英) 27년(1751)과 46년(1770), 순조(純祖) 3년(1803)에 색채보수, 부연과 풍판의 개수등 4차례 보수한 기록이 있다.
1937년부터 1940년까지 만공스님 대에는 대웅전 전체를
해체 보수하였고 이때 포벽에서는 고려·조선 양시대에 걸쳐 그려진 벽화가 발견되어 주목을 끌었다. 조선시대에 그려진 벽화의 안쪽에서 발견된 고려 벽화는 주악비천도(奏樂飛天圖)·공양화도(供養花圖)。수화도(樹華圖) 등이 있었으며, 조선시대 그려진 오불도(佛圖) 등이 있었지만 유실되고 없으며, 현재는
그 모사본(模寫本)이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고 사진자료가 일부 전해지고 있다. 현재 대웅전 건물 내부 대들보에 남아있는 금룡도(金龍圖)는 우아한 색채와 생동감있는 필치의 걸작으로 고려 불교미술의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한편 수덕사는 근대 한국불교 선풍(風)을 진작시킨 경허 만공스님이 주석하시며 한국 불교를 중흥시킨 도량으로 경내에는 대웅전 청련당·백련당·조인정사·황하정루·
근역성보관·금강문천왕문 일주문의 당우를 갖추고 있으며, 대웅전 앞으로는 통일신라말 고려초에 제작된 삼층석탑이 있다. 산내에는 정혜사·소립초당·향운각 금선대·전월 사의 암자와 토굴이 있고, 정혜사에는 능인선원(能仁院)이 있으니 경허 만공스님의 선맥을 계승하는 선원으로 많은 고승대덕의 출현처이고 작금도 선객들이 줄을 잇는 도량이기도 하다. 또한 덕숭산 서쪽 줄기에는 비구니 제일선원인 견성암이 있으며 김일엽스님이 주석한 환희대와 극락암 선수암의 비구니 암자가 있다. 근래에는 승가대학을 설립 운영하고 있으며, 사부중이 철야용맹정진을 하는 등 선풍을 진작하는 총림(叢林)으로의 위용을 갖추고 있다.